
기존에 스프링 레거시로 하다가 스프링부트를 시작해봤는데 처음 접하다 보니 일주일 간 많이 헤맸다. 각종 블로그를 참고했지만 최신버전과 맞지 않는 부분이 많았고 각자 커스텀 정도가 달라 아무리 예제라지만 내 코드에 적용하기엔 쉽지 않았다. 처음엔 Repository가 DAO 역할을 한다는 것을 어렴풋이 알았지만 그럼 Mapper는 또 뭔가? 같은 역할 아닌가? 하고 제대로 개념조차 서지 않았다. 그래서 Repository를 Service와 매칭을 했더니 @AutoWired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Bean Configuration 관련 오류가 나왔다. 알고보니 Repository는 .xml 없이 자주 쓰는 구문들을 호출하기 위한 메소드의 집합체였다. 이 때는 Service가 필요없어지게 된다. JPA 형식으로..
GET 방식 요청 try{ CloseableHttpClient httpClient = HttpClients.custom() .setSSLContext(sslcontext.build()) .setSSLHostnameVerifier(NoopHostnameVerifier.INSTANCE) .build(); String url = "https://..."; //요청할 주소 HttpGet httpGet = new HttpPost(url); url+="?param1=data1&pram2=data2..."; // 넘길 데이터 예제 CloseableHttpResponse response = httpClient.execute(httpGet); response.close(); httpClient.close(); }catc..